
안녕하세요, 풀리입니다.(❁´◡`❁)
임신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정부 및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지원사업 정보를 정리하였습니다.
임신을 준비하는 부부를 위한 지원사업 (2025년 1월 1일 기준)
2024년도에는 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이었던, 2025년에는 전국적으로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4년도에 신청자가 급증하면서 예산이 조기에 소진되어 종료된 것을 보면, 예산 소진 전에 미리 신청하셔서 다녀오시면 좋겠습니다 🤍
서울시도 2025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사업 (가임력 검사)를 소개드립니다.



기존 사업과의 차이점
-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 보건소에서 신청 후 검진 및 상담 진행
-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사업: 대부분의 검사가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지며, 의료비 지원 포함
2024년 지원사업에서는 엽산제 지급 및 다양한 검사 항목이 포함되어 있었기에 더욱 유용했지만, 새로운 지원사업으로 변경되면서 일부 혜택이 조정되었습니다. 이를 미리 알았더라면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겠다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임신 사전 건강관리 (가임력 검사비 지원)
검사비 지원 항목 및 금액
- 여성: AMH(난소기능검사), 부인과 초음파 (최대 13만 원 지원)
- 남성: 정액검사, 정자정밀형태검사 (최대 5만 원 지원)
이 지원사업은 2025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며,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을 경우에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 매월 참여 의료기관 정보가 변경되므로, 반드시 최신 정보를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2025년 2월 기준 참여 의료기관 목록은 아래 파일을 참고하세요.
신청 대상
- 20~49세 남녀 중 검사 희망자 (결혼 여부 관계 없음)
- 주기별 1회, 최대 3회까지 지원 가능
- 29세 이하: 제1주기
- 30~34세: 제2주기
- 35~49세: 제3주기
 
유의사항
📌 건강관리 참여 의료기관은 매월 1일 갱신되므로, 최신 목록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사업 미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을 경우 지원이 불가능합니다.
📌 생애 총 3회까지 지원되며, 각 주기별 1회만 신청 가능합니다.
📌 미혼, 예비부부, 사실혼 및 법률혼 부부 모두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사실혼 관계의 경우, 청첩장, 사실혼 확인보증서, 예식장 예약 영수증 등 증빙 서류 제출 필요)
📌 지자체 예산 상황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연초에 신청하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신청 방법
해당 지원사업은 e보건소(공공보건포털)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https://www.e-health.go.kr/gh/infm/selectBbsDtlViewInfo.do?bbsId=U00182&bbsNo=416835
신청 후 지원 결정이 완료되면, 검사를 받고 비용 청구가 가능합니다.
📍 임신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미리 신청하여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임신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임신준비 :: 임신사전검사 항목/목적/효과/감사방법/해석방법 (AMH난소나이, 호르몬, 자궁 검사 등) (0) | 2025.02.11 | 
|---|---|
| 🌷임신준비 :: 사전건강관리지원사업 검사항목(여) 및 비용청구방법(청구기간 변경: 1개월이내) (0) | 2025.02.10 | 
 
                    
                  